간략 소개
painter
painter
1970
● 추경의 작품 세계
추경은 가평 산 중에 위치한 설미재미술관에 작업실을 두고 자연을 관찰하고, 명상하면서 자연의 감각을 온 몸으로 받아들여, 자연의 본성을 품은 작품들을 발표해왔다. 그는 도시에서 자연에 대한 관념적 접근을 기반으로 작업을 한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직관으로 자연을 관찰하고 명상하면서, 자연의 본질에 닿아 고유한 화업을 이룬 작가이다. 그의 작품 주제는 세상을 이루는 본질인 지(地), 수(水), 화(火), 풍(風)에 기원을 둔다. 그는 “흙과 물, 불과 바람으로 인해 대자연이 이루어지고 생명체의 존재가 가능하다”는 사유를 바탕으로 작업을 전개해왔다. 지난 20여 년 간 작품의 주제였던 ‘바람(風)’ 이후, 2016년부터는 새로운 주제인 ‘불(火)’을 모티브로 생명체가 발산하는 호흡, 혼과 같은 것을 시각화하여, 자연에서 뿜어져 나오는 기운생동을 표현한 작품들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2019년 개인전 《삶의 불꽃으로(Life of Flame)》와 2020년 《불꽃-이상향(Flame-Utopia)》에서 발표한 연작들은 자연의 힘을 의미하는 한지를 매체로 사용하여, 불꽃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방법론에 대해 평론가 박영택은 “우연성, 우발성 혹은 스스로 그렇게 되어버린 듯한 자연성의 성격”을 품고 있다고 보았고, 평론가 로버트 C. 모건은 작가 스스로 칭한 “자연회화(natural painting)란 자연의 힘을 복원하는 불꽃에 의존하는 재현”으로서, 자연과 예술이 서로에게 회귀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추경(Choo Kyung)
부산 동아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파리 8대학 조형미술학과 석사
파리 1대학 미술사학과 박사과정
동아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강사역임
개인전-23회 (서울, 부산, 가평, 파리, 베를린, 상하이, 뉴욕)
2023 “불꽃 자연을 아우르다” DESIEGO Gallery (서울)
2022 “Flame-Embracing Nature” Kate Oh Gallery (New York )
2021 “나는 대한민국 작가다” (남송미술관)
2019 “생의 불꽃으로” ( 동아대 석당미술관 부산 )
2016 “관계의 숲-Blue“ (설미재미술관 가평)
2012 ”바람으로 형상화한 자연“ (정동갤러리 서울)
2008 “Wind Flower” (NARANA Gallery, Sanghai )
2007 “Wind Flower” (가나 인사아트센터, 서울)
2003 ”설 중 화“ 포스코미술관 (서울)
2002 갤러리 라메르 멀티 (부산)
2001 ”자연중에서“ 현대 아트갤러리 (서울)
1998 ”색즉시공“ 영동 예맥화랑 (서울)
1996 ”추경 근작전“ 청화랑 (서울)
1995 ”추경 근작전“ 갤러리 메이 (서울)
1992 ”추경 근작전“ 진아트센터 (서울)
1990 갤러리 지니스(부산)
1990 ”Le Passage“ 진화랑 (서울 )
1989 ”오늘의 시각전“ 조선일보 미술관 (서울)
1989 Gallery ROHO (Berlin Germany)
1988 Korea Cultural Center (Paris Fance)
1972 고전화랑 (부산)
1971 제1회 개인전 서울신탁은행 화랑 (부산)
국제전
2020 06 BIENALE WYNWOOD First Eirst Edition (MIAMI , U.S.A)
2009 한국 예술; 과거 현재 미래 (벤쿠버 에버그린 문화센터)
2007 2004 서울국제 아트 페어 (MANIF) (예술의 전당)
2004 한국 국제 아트 페어 (코엑스 다도갤러리)
2002 Gallery Forum 초대 한국 교류전 (독일)
1994 94 중한영춘 회화연전(북경 국제미술관)
1993 대전EXPO기념 국제교류전(공기전)
1992 TOKYO ART EXPO 1992 (동경 하루미 무역센터, 진화랑)
1990 SALON INTERNATIONAL DES BAUX-ARTS (그랑빨레, 파리)
1990 19회 SALON CAMARET (카마레트, 프랑스)
1989 MONTE-CARLO 국제 대상전 (모나코)
1989 SALON DE MAI (그랑빨레, 파리)
1988 SALON DE REALITES NOUVELLES (그랑빨레, 파리)
1987 SALON DE MAI (그랑빨레, 파리)
1986 SALON DE AUTOMNE (그랑빨레, 파리)
1985 한국 현대 미술전 (뚜르즈, 프랑스)
1983 한국 현대 미술전 (ITEZA화랑, 경도)
1974 한국 현대 미술전 (SIGNUM화랑, 경도)
1972 한일 현대작가 교류전 (SHIZUOKA, 일본) 외 50여회
국내전
2022 “BAMA”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
2020 ”20 이산“ 전 (도화헌갤러리, 전남,고흥)
2019 ”붓다의 향기” 전 (동덕갤러리, 서울)
2018 경기동북 4개도시 현대미술전 (양평 군립미술관)
2018 신천리 아트팜 프로젝트 (설미재미술관)
2018 설미재, 자연을 탐하다. (설미재미술관)
2017 가평 원로작가전 (남송미술관)
2016 ‘백화만발 만화방창’ 경기도미술관 10주년 특별전 (경기도미술관)
2015 ‘새 둥지를 열다’전 (설미재미술관)
2014 아름다운 북한강 지킴이전 (남송미술관)
2014 한국현대미술-방법작가회의 전 (성남아트센터)
2014 설악에 살다 (설미재미술관)
2013 서울방법 작가회의 전 (설미재미술관)
2013 가평미술인전_가을동행 (舊가평철도역사)
2012 서울방법 작가회의 전 (강릉 시립미술관)
2012 평화통일 미술대전 (경기도 제2청사)
2011 SOAF, 2011 (코엑스 조선화랑)
2009 함께하는 경기도 미술관 (가평문화예술회관)
2008 경기사계-아름다운 산하전 (용인 문화원)
2008 제4회 경기도 평화통일 미술대전 (초대작가 출품)
2007 경기도전, 대한민국 중심작가 초대전,아시아의 바람전 (영화종합 촬영소)
2007 서울방법 작가회의 전 (예술의 전당)
2006 서울방법 작가회의 전 (인사아트 프라자)
2005 한국미술의 오늘전 (남송미술관 개관)
2004 경기북부 미술의 비상-그 힘찬 날개전 (경기도 제2청사 )
2003 한국미협 가평지부 창립 기념전 (가평문화 예술회관)
2002 서울 화랑 미술제 (예술의 전당, 진화랑)
2002 서울방법 작가회의 전(세종문화회관 미술관)
2001 봄바람 2인 기획전(현대 아트갤러리 울산점)
2001 북한강 미술제 (서종갤러리)
2000 서울 화랑미술제(예술의 전당, 갤러리 메이)
2000 광주비엔날레(인간의 숲, 자연의 숲)
2000 「서울방법」작가회의 2000 조망 (대전시립미술관)
2000 ch37TV A&C 컬렉션
1998 부산시립미술관 개관기념전
1997 자연과 추상전 (포스코 갤러리)
1994 색시공 전 (조형갤러리)
1994~93 서울 화랑미술제 (예술의 전당, 진화랑)
1992 남부 현대 미술제 (문화회관 부산)
1992 혁 동인 30 년전 (시민회관 부산)
1991 동맥전(카톨릭 센터 미술관)
1991 남부현대미술제 (시민회관, 목포)
1984 제4회 부산 현대 미술제 (시민회관 부산)
1983 제3회 부산현대미술제(부산 시민회관)
1982 EPOQUE 초대전 (남도 예술회관, 광주)
1982 제2회 부산미술제 (시민회관 부산)
1981 제1회 부산 청년 BIENNALE (시민회관 부산)
1979-84 제5-10회 부산미전 추천작가 (시민회관 부산)
1978 제4회 INDEPENDANT전 (국립 현대미술관, 서울)
1977 제4회 대구현대미술제 (시민회관, 대구)
1977 한국미술협회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76 제4회 INDEPENDANT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76 회화 6인전 (그로리치화랑, 서울)
1975 제1회 부산미술대전 ‘은상’수상
1975 제1회 서울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외 400여회.
주요 작품소장처
뉴욕 모나코 대사관 (뉴욕)
서울 시립미술관
동아대 석당미술관
포스코미술관
경기도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부산 시립미술관
진아트센터
포스코건설(주)
포스데이터(주)
한국도시발전 연구원
한국종합경제연구원
가평군청
가평경찰서
야베스(주)
청평수력발전소
▶도움말◀
작성하실 때, 아래 항목을 염두에 두시면 좋습니다.
1. 업체 및 담당자
2. 작업 종류 및 내용
3. 창작물 형식
4. 예상 기한 및 금액
계약서 작성은 의무가 되었습니다.
별도 계약서가 없다면 국가법령의 표준계약서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의뢰 주시어 감사합니다.